
얼마전 VMware Cloud로부터 한통의 메일이 도착하였습니다. VMware Cloud on AWS에서 사용 중인 Site Recovery Manager의 버전이 v8.4로 업그레이드예정으로, 3개월이내 사용 중인 SRM의 업그레이드도 진행될 것이며, 실제 진행 7일전에 다시 한번 공지해주겠다는 내용입니다. 해당 메일은 VMware Cloud 서비스에서 사용중인 서비스들의 관리자들에게 모두 전달되었습니다. 이번에 공지된 SRM v8.4의 경우 지난 3월 9일(미국시간)에 release 된 것으로 확인되고 있으며, 메일은 4월 26일(한국시간)에 수령하였음으로, 출시 후 약 50일정도 기간 후에 업그레이드가 결정되었습니다. 기본적으로 VMware Cloud 서비스에서는 최신 버전이면서 안정성이 확보되었다..
여느 퍼블릭 클라우드처럼 VMware Cloud on AWS에도 가용성을 보장하는 SLA(Service Level Aggrement)가 있습니다. SLA는 만약의 사태에라도 서비스 가용성을 어느정도 수준으로 보장한다는 일종의 보증수표로, 만약 해당 가용성을 지키지 못하는 이슈가 발생하였을 경우 그에 대한 보상이 지불되는 기준이 되기도 합니다. 기본적으로 가용성은 사용하고 있는 서비스의 빌링되는 기간을 기준으로 합니다. 예를 들어 4월 1일부터 30일까지 한달 쓴 비용을 월 1회 빌링으로 청구받는다고 하면, 4월 한달이 기준입니다. 이 경우 4월달에 서비스의 다운시간의 총 합계가 SLA가 보장하는 시간보다 더 길었을 경우 보상이 이루어 집니다. 물론 대부분의 경우 다운타임이 존재하지 않으며, 만약의 사태를..
SDDC를 배포할때 사전에 반드시 정해놓아야 하는 것중에 하나는 관리 네트워크 대역입니다. 이 관리 네트워크는 배포후에 변경될 수 없음으로 반드시 사전에 신중에 신중을 기해 결정해야 합니다. 관리 네트워크는 배포되는 SDDC의 관리 목적으로만 사용됩니다. 내부 호스트에 구성되는 ESXi를 비롯하여, , vMotion, vCenter, NSX, HCX, SRM 등 VMware Cloud on AWS에 사용될 서비스의 SDDC의 모든 IP 구성을 포함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특정 IP를 특정 서비스에 할당하거나, 할당된 IP를 임의로 변경할 수 없습니다. 또한, 일반 워크로드용 가상머신에 해당 IP 대역을 할당할 수 없습니다. 즉, 처음부터 모든 IP는 각자의 사용 목적이 지정되어 있으며, 할당된 IP의 사용..
많은 분들을 만나 클라우드 인프라에 대해 이야기 나누다보면,결국 클라우드의 기반은 우리가 흔히 SDDC라 부르는,가상화 기반의 데이터센터 인프라를 가질 수 밖에 없음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럼 이 가상화는 무엇인가요?라고 물어보았을 때, 많은 분들이 바로 답변에는 어려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특히 많은 인프라 담당자분들이 가상화를 생각하시면, 서버가상화를 떠올리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하지만, 가상화는 서버에만 국한되는 개념이 아니며, 최근들어 갑작스럽게 생긴 기술도 아닙니다. 가상화란 다양한 하드웨어/소프트웨어 리소스의 자원들을 추상화시키는 기술의 통칭이며,서버 가상화 역시 과거 유닉스 시절부터 내려온 아~주 오래된 기술입니다.만약 누군가가 저에게 가상화란 무엇인가요?라고 물어본다면,전 아래와 같이 '척..
VMware Cloud on AWS의 관리는 목적과 계정에 따라 분산된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AWS와 VMware가 함께 제공하지만, 물리적 구성과 논리적 구성의 관리로 역할이 나뉘어져 있고, VMware에서도 SaaS와 설치형 등으로 구분되다 보니 개별 인터페이스 접근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VMware Cloud on AWS에서 사용하는 인터페이스는 크게 3가지 필수 인터페이스와 1개의 옵션이 존재합니다. 각 인터페이스별로 용도와 계정이 달라 사용자 목적에 맞는 계정을 이용한 관리 접속이 필수입니다. 1. 필수 인터페이스(3) : AWS console, VMware Cloud Console, vCenter 2. 옵션 인터페이스(1) : NSX adavanced Load Bala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