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터프라이즈에서는 대부분 MSP를 통한 VMware Cloud on AWS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MSP는 Managed Service Provider의 약자로, VMware의 파트너 중에 관련된 자격과 경험을 기반으로 VMware Cloud on AWS의 MSP 사업을 할 수 있는 자격을 얻은 전문 VMware 파트너사들을 뜻합니다. MSP를 이용할 경우 비용적인 효과와 함께, 구축 및 운영 경험과 전문 모니터링 서비스를 바탕으로 한단계 더 높은 기술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VMware Cloud와 AWS와의 연동 및 통합 관리/빌링등에 있어서도 MSP는 더욱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MSP는 VMware Cloud에 대한 컨설팅/구축/마이그레이션뿐만 아니라, 운영/기술지원도 함..

처음 인터넷 게시판에서 슬라이드만 보고, 처음부터 끝까지 여러번 보았던 기억이 납니다.왜 발표를 왜 (자주) 해야하는지, 발표를 하면서 무엇을 얻을 수 있는지, 발표가 왜 중요한지,다시한번 생각하게 만드는 좋은 슬라이드를 공유합니다. 글이 많지 않으면서도, 슬라이드만 보고도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이 쏙쏙 들어오는 슬라이드는 처음인것 같습니다.하용호님처럼 슬라이드 만들어보고 싶은데, 항상 만들다보면, 빈칸을 두고 싶지 않은 이상한 욕심만 생겨 어렵네요.이 글을 보시는 모든 분들 꼭 한번씩 다시 한번 슬라이드 읽어보시고, 좋은 발표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참고. 하용호님의 원본 페이스북 글입니다.www.facebook.com/yonghosee/posts/2060716030634186 Facebook에 로그인메뉴..

SSD는 데이터를 쓸때 HDD와는 다른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HDD는 기존에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도 덮어쓰기를 통해 데이터를 변경합니다. 그러나 SSD에서 사용하는 NAND 에서는 기존 데이터가 있을 경우 데이터를 지우고, 다시 써야합니다. 이 과정에서 마모가 발생하며, 어쩔수 없이 SSD는 제조당시부터 보장할 수 있는 수명이 정해져 있습니다. 여기서의 수명이란 SSD의 오류 없이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있는 기간을 뜻합니다. SSD의 제품 수명을 판단하는 수치로 다양한 수치가 있으나, 주로 TBW와 DWPD가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DWPD가 더 많이 사용되기는 하나, 여전히 TBW로 표현하는 제조사도 있습니다. 1. TBW : TeraByte Written TBW는 기간별 Write 가능한 전체 용량을 ..

VMware Cloud on AWS는 AWS의 리전에 위치한 EC2 베어메탈 기반의 SDDC 서비스입니다. AWS의 EC2 베어메탈 가격이 리전마다 다르듯, SDDC의 host 가격도 리전마다 다르게 책정되어 있습니다. 리전별로 자리에 대한 비용, 전기에 대한 비용, 인건비에 대한 비용, 영업적인 비용들이 다르기 때문인데요. 기본적인 AWS의 리전별 EC2 가격을 기준으로 VMware Cloud on AWS의 가격이 책정되기 때문에, 실제 동일한 i3.metal기반 SDDC라 하더라도 위치에 따라 최대 60% 정도의 차이까지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는 VMware에서 지역별로 차등을 두는 것이 아니라 AWS의 가격 정책에 기반하고 있음을 기억 바랍니다. 가격은 리전별로 시간당 US$ 기반의 List Pri..
기업의 데이터센터는 애플리케이션을 유지시켜 주기위해 존재하며, 오직 애플리케이션을 위해서만 존재합니다. 이를 위해 데이터센터 내부 인프라는, 애플리케이션이 요구하는 조건(기능/성능)을 지원할 수 있는 최적화된 아키텍처과 사이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 IT 운영환경에서 개발과 인프라 운영이 완벽히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에서 요구되는 스펙을 받아서 딱 최소한으로만 구성하고 있는게 현실입니다. 즉, 여기서의 최적화라고 하는 것은 애플리케이션이 요구하는 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제일 저렴한 비용의 인프라입니다. 물론 데이터센터에도 기대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성능보다 훨씬 뛰어난, 더 비싸고 좋은 IT 인프라를 도입할 수 있습니다. 다만 기업이 추구하는 이윤 추구 활동에서 불필요한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