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verything fails all the time. 모든것은 언젠가는 수명을 다하기 마련입니다. 혹은 수명을 다하지 않았어도 고장날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를 유지하는 인프라도 마찬가지입니다. 즉, AWS의 물리적 인프라 기반인 VMware Cloud on AWS도 Fail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대비하여, VMware Cloud on AWS에서는 항상 인프라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장애발생시 즉시 복구하기 위한 Auto-Remediation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VMware Cloud on AWS는 VMware에 의해 직접 managed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음으로, Auto-Remediation과 관련된 모든 과정은 VMware의 자동화된 프로세스에 의해 제공되며, 사용자는 제공되는 SDD..

VMware Cloud on AWS는 AWS 데이터센터 안에 구축되는 VMware 기반 SDDC입니다. 실제 SDDC를 배포해보면, 지정한 IP 대역대로 네트워크까지 자동으로 생성이 되고 인터넷 연결까지 완료됩니다. 추가적인 Gateway에 대한 별도의 네트워크 구성 없이, VM 생성만으로 인터넷까지 즉시 연결되어 있습니다. AWS에서는 VPC를 기반으로 subnet으로 구분되는 네트워크를 반드시 구성해야 그 안에 EC2를 구동할 수 있고, 외부 연결에 대해서도 Internet Gateway와 보안 관련 구성을 해야 통신할 수 있습니다. 이와 반대로, VMware Cloud on AWS에서는 SDDC 배포만으로 네트워크 구성이 완료되고, 그 안에 내가 원하는 네트워크를 자유롭게 만들 수 있으며, VM만 ..

VMware Cloud on AWS는 베어메탈 서버 위에서 동작하는 VMware Cloud 서비스입니다. 기본적으로는 AWS의 베어메탈과 동일한 하드웨어 스펙과 모델 이름을 사용하며, 현재 선택 가능한 모델은 i3.metel과 i3en.metal입니다. 초기에는 i3en.metal 대신에 R5.metal 모델이 추가로 있었었는데요, 5TB짜리 EBS 볼륨 을 호스트별로 3~7개까지 붙혀서 vSAN 스토리지로 사용하는 개념이였습니다. 대용량 스토리지를 위한 모델이였으나, 공개되지 않은 내부적인 이유로 인해 해당 모델에 대한 지원은 종료되었습니다. 말씀드린대로, 현재 지원 모델들은 AWS의 표준 베어메탈 서비스를 그대로 제공하는 것으로, 기본적인 하드웨어 스펙은 동일합니다만, CPU의 논리적인 차이가 있습니..

VMware Cloud on AWS는 AWS 리전을 기반으로 전세계 16개 지역에서 제공되고 있습니다. 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 AWS의 총 21개(북미 GOV 클라우드 2개, 중국 2개 리전 제외) 리전 중에, 약 76%(16/21)의 리전에서 서비스가 가능한 것입니다. AWS의 리전별 VMware Cloud on AWS 서비스 현황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AWS의 특성상 각 리전에는 다수의 가용영역이 존재합니다. 하나의 리전에 위치한 VPC안에 여러 가용영역에 걸치는 서브넷을 생성하고, 동일한 워크로드를 다른 AZ에 위치한 서브넷에 분산배치하여 AZ의 장애에 대비합니다. 하지만, VMware Cloud on AWS는 vSAN의 특성상, 동일한 가용영역 내에 하나의 SDDC가 존재하게 됩니다. VM, ho..

VMware Cloud on AWS는 AWS의 베어메탈 서버를 기반으로 구성되지만, 놀랍게도 베어메탈 서버를 기준으로 Auto Scaling을 지원합니다. 클라우드이기 때문에 가능한 VMware Cloud의 특화된 필수 기능이지요. 아시다시피 On-premise라면 물리서버가 자동으로 늘어나고 줄어든다는 개념은 절대 불가능한 일입니다. 서버는 물리자산이기 때문에 항상 고정이고, 고정된 자산을 기존에 미리 장착/구성 해놓지 않고서는, 하이퍼바이저 host의 순간적인 증가는 불가능합니다. 하지만, VMware Cloud on AWS에서는 사용량에 따라 자동으로 host를 늘릴수도 줄일수도 있습니다. 또는 API를 통해 시간에 맞추어 서버를 증설하고, 원하는 시간에 수동으로 서버를 줄일 수도 있습니다. 해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