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2025년 9월 18일 진행된 AWS Innovate: Migrate and Modernize에서 발표된

'VMware 워크로드를 클라우드로, 가장 스마트한 마이그레이션의 시작 - Amazon EVS' 를 정리합니다.

참고로, 발표 내용 중 일부를 흐름에 맞추어 변경하였습니다.

 

I. EVS 소개 (현재글)

    1. 개요

    2. EVS 서비스

    3. EVS 마이그레이션

    4.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구성

    5. EVS 가격 구조

II. EVS 구성 요소

III. EVS 배포


1. 개요

 

AWS는 VMware 워크로드를 위해 Elastic VMware Service(EVS)를 새롭게 출시하였습니다.
EVS는 Broadcom의 VMware Cloud Foundation(VCF)를 AWS에서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신규 클라우드 서비스이며,

곧 국내에서도 출시될 예정입니다.

 

기존에 VMware가 AWS 위에서 직접 운영하던 VMware Cloud on AWS와 달리,

EVS는 AWS가 직접 제공하는 서비스라는 차별점이 있습니다

 

이제 EVS를 이용하면 VMware 워크로드를 클라우드로 가장 빠르고 편리하게 마이그레이션 할 수 있으며,

AWS 위에서 VMware 워크로드를 이용함으로써 다양한 이점을 누릴 수 있습니다.

 

첫째, VMware 환경에서도 클라우드의 탄력성과 신속성을 제공합니다.

On-premises의 경우 최대 용량에 대한 사전 준비나, 장애에 대비하여 충분히 여유있는 Redundancy 확보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클라우드에서는 원하는 시점에 원하는 만큼의 자원(Host, 스토리지 등)을 빠르게 확장하고 축소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과 최적화된 자원을 구축합니다.

 

둘째, On-premises와 클라우드 간에 VM의 자유로운 이동이 제공됩니다.

On-premises와 클라우드에 동일한 vSphere 하이퍼바이저가 구성되어 있어, 

On-premises에서 클라우드로, 또는 그 반대인 클라우드에서 On-premises의 이동이 자유롭습니다.

 

셋째, 클라우드에 위치한 다양한 서비스를 즉시 활용합니다.

On-premises에서는 구현하기 쉽지 않은 서비스들도 클라우드에 위치한 서비스로서 즉시 사용하기 때문에,

VMware의 워크로드들에 대해서도 Application 현대화를 쉽게 제공할 수 있습니다.

 

 

EVS는 AWS의 글로벌 인프라스트럭처 안에서 구현됩니다.

AWS의 기본 토대가 되는 VPC 안에 EVS가 위치하게 되며, 당연히 AWS의 다양한 서비스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EVS 안에는 On-premises와 동일하게 VCF의 기술스택이 그대로 배포가 됩니다.

즉, On-premis의 VMware 기반의 환경들과의 완벽한 호환성을 보장합니다.

 

또한, VMware에서 제공하는 NSX와 HCX를 통해 On-premises의 네트워크를 클라우드로 확장하고

IP를 변경하거나 다운타임을 가져갈 필요 없이 VM 워크로드들을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도 있습니다.

물론 필요에 의해 언제든지 On-premises로 다시 역마이그레이션도 가능합니다.

 

EVS는 다양한 사례에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

 

1. 데이터센터 확장

On-prem에서 사용하시는 VMware의 기술과 환경을 그대로 유지하시면서 데이터센터의 용량을 클라우드로 확장합니다.

필요시 자유롭게 확장하여 사용하고, 필요가 줄어들면 축소할 수 있는 탄력적인 하이브리드 형태로 구성합니다.

 

2. 클라우드로의 빠른 마이그레이션

On-premises의 데이터센터 Exit시 Relocate라는 마이그레이션 방법을 통해서 매우 빠르게 마이그레이션을 완료합니다.

VM 자체를 동일 플랫폼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Assessment와 호환성, 재검증 등의 절차가 매우 단순해지며,

이를 통해 EVS로 빠르게 마이그레이션 하여 즉시 서비스 합니다.

 

3. 재해 복구

평상시에 최소한의 용량으로 DR(Disaster Recovery) 센터를 EVS에 구축해두고,

재해 시점에 클라우드의 탄력성과 신속성을 이용해서 EVS 클러스 자원을 즉시 확대합니다.

이후 서비스를 즉시 배포하여 최소한의 RTO로 복구하는 효율적인 클라우드 DR을 구성합니다.

DR 상황이 모두 해제된 이후에도 짧은 시간 내에 빠르게 On-premises로 워크로드를 복구할 수 있습니다.

 

4. 애플리케이션 현대화

On-premises에서 즉시 도입하기 어렵거나, 규모로 인한 비용의 문제가 있는 서비스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AWS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즉시 연계하여, VM 워크로드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현대화를 가속시켜 줍니다.

 

 

2. EVS 서비스

 

 

EVS는 AWS의 VPC 내에서 직접 VMware Cloud Foundation(VCF)를 실행하는 형태로 서비스가 제공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AWS로의 마이그레이션을 간소화하고 또 가속화 시킬수 있으며,

클라우드에서도 VMware 아키텍처에 대한 제어권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유지보수에 있어서도 직접 관리하거나, AWS의 파트너를 통해 지원받는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하며,

200개가 넘는 다양한 AWS 서비스에 대해 직접 접근하고, 

애플리케이션을 현대화하면서 혁신을 주도해 나가실 수 있는 특징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1. 자동 프로비저닝

AWS 관리 콘솔 또는 AWS CLI를 통해서 EVS를 자동으로 배포하고 구성합니다.

배포과정에서 필요한 여러가지 설정들을 초기 입력 후 VMware Cloud Builder를 통해서 쉽게 배포합니다.

 

2 EC2 베어메탈 서비스

최적의 성능을 위해서 EC2 베어메탈 인스턴스를 사용합니다.

현재는 i4i.metal이라는 단일 인스턴스 모델만 제공되고 있으나 현재 최소 4개 이상의 모델로 확장이 계획되어 있습니다.

또한, 인스턴스에 대한 Tenancy 옵션으로 Shared Tenancy 또는 Dedicated Host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Shared Tenancy

    다수가 공유하는 베어메탈 풀에서 배포시마다 할당받아 사용하게 되며, 배포시마다 다른 서버를 할당 받을 수 있습니다.

  2) Dedicated Host

    특정 물리 서버를 지정해두고 독점으로 사용하게 되며, 주로 SW 라이센스 문제로 인해 사용하는 경우입니다.

 

3. 표준 VCF 소프트웨어

EVS는 AWS에 의해 검증된 표준 VCF 소프트웨어를 통해 구현됩니다.

현재는 v5.2.1을 지원하고 있으며, 최신 버전의 경우 향후 업데이트를 통해 순차적으로 제공될 예정입니다.

 

4. 관리 및 제어

EVS는 사용자에게 Full administrative access 권한을 제공합니다.

즉, On-premises와 같이 고유의 Root 권한을 이용하여 VCF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능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5. 유연한 소비 모델

비용의 경우 EC2 인스턴스에 대해 On-demand 그리고 1년/3년의 약정을 통한 하드웨어 약정을 제공합니다.

VCF의 경우 On-premises에서 구독중인 라이센스를 이동하여(Bring Your Own Subscription) 사용해야 하며,

이는 EVS 배포 전 준비되어야 합니다.

 

6. 관리 방법 선택

기본적으로 Premium Support Business 이상 서비스를 이용해야 하며, 이에 대해 AWS의 L1, L2 서비스가 제공됩니다.

만약 더 상위 지원이나 L3 이상의 지원이 필요한 경우 Broadcom과 협력하여 지원하고 있습니다.

그 외 기술적인 Hands-on이 필요한 유지보수의 경우 직접 관리 또는 AWS 파트너를 통한 관리를 제공합니다.

 

 

3. EVS 마이그레이션

 

 

EVS로 VMware 워크로드를 마이그레이션 할 때 가장 효과가 확실합니다.

마이그레이션 방법론적인 측면에서 Relocate 방식을 통해 가장 빠르고, 가장 안전하며, 최소 비용으로 마이그레이션 합니다.

 

일반적으로 클라우드로 마이그레이션 할때, Rehost 방식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경우 새로운 호스트 위에 OS를 설치하고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바이너리와 데이터를  복제 하는 형태로

마이그레이션이 진행되며, 이는 애플리케이션 입장에서 위치가 변경되는 의미입니다.

 

이때 일반적으로 Rehost 전용 도구를 사용하게 되는데,

원본 VM 안에 Agent를 설치하고, 이를 통해 디스크 볼륨을 복제하는 형태로 마이그레이션을 진행하게 됩니다.

이경우 신규 하드웨어 및 OS로 변경 되었기 때문에 디바이스 드라이버에 대한 최적화 작업이 필요하고,

제공되는 OS에 따라 별도의 변환 및 최적화 작업이 필요할수도 있습니다.

 

이에 반해 Relocate 방식은

타겟 환경(여기서는 EVS)에 이미 완벽하게 호환이 되고 있는 동일한 제품의 vSphere 하이퍼바이저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복제되는 대상은 사용자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 뿐만 아니라 OS 전체 ,

즉 VM을 통째로 복제하는 형태로 마이그레이션이 진행되기 때문에 별도의 후속작업이 필요하지 않고, 

마이그레이션 된 이후에 OS를 포함해서 애플리케이션에 문제가 발생할 만한 여지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relocate라는 마이그레이션 방식은 마이그레이션 방법론 측면에서 가장 빠르고 편리한 마이그레이션 방식입니다.

 

 

4.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구성

 

 

AWS에 EVS를 배포하는 경우 On-premises와 AWS 사이에 진정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아키텍처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VCF 솔루션에 포함된 VMware HCX(Hybrid Cloud Extension)를 이용하는 경우

HCX Interconnect(IX)를 이용하여 On-premises와 클라우드 간에 IPsec 터널을 구성하며,

이 터널을 이용하여 VM 워크로드들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동하는 VM 워크로드들의 다운타임을 잡기 어려운 경우에는 

HCX L2 Extension을 통해서 On-premises에서 사용중인 L2 네트워크를 확장하여 클라우드 상에서 제공합니다.

네트워크 경로와 게이트웨이 보안 정책등의 변경 없이, VM을 라이브 상태로 즉시 마이그레이션 할수 있습니다.

 

 

5. EVS 가격 구조

 

 

EVS의 경우 AWS 서비스와 Broadcom의 VCF가 결합된 형태이므로, 양쪽 환경에 대한 비용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AWS에서 고려해야할 비용은 VPC, 서브넷, 라우팅 테이블 및 EC2 베어메탈 인스턴스가 있습니다.

 

1. EC2 인스턴스 

현재 i4i.metal이 제공되고 있으며, on-demand, 1년, 3년의 약정이 가능합니다.

 

2. Dynamic Routing Service

VCF 내부 네트워크와 AWS VPC 네트워크간의 연결 및 라우팅 정보 전달을 위한 Route Server가 필요합니다.

Route Server에서 VCF 내 NSX Edge 2대(이중화)와 각각 연결되는 endpoint를 제공합니다.

 

3. EVS Control Plane

EVS의 핵심 코어 역할을 담당하는 VCF 소프트웨어에 대한 구독이 필요합니다.

현재는 BYOS 형태로만 제공되고 있기 때문에, 별도의 Broadcom 파트너를 통한 가격 확인이 필요하며,

EVS에서 VCF 라이센스가 포함된 모델은 향후 출시 예정으로 되어 있습니다.

 

4. External Storage

HCI 형태로 스토리지만 부족한 경우 컴퓨팅까지 증가해야 하는 불합리함을 방지하기 위해 

Amazon FSx for NetApp ONTAP을 이용하여 NFS 또는 iSCSI 형태로 데이터스토어를 확장할 수 있습니다.

필요한 용량에 따른 가격 고려가 필요합니다.

 

추가적으로 

EVS는 Amazon Premium Support의 Business Plan 이상의 지원을 필요로 합니다.

이는 사용량과 조건에 따라 달라지는 부분으로 환경에 맞는 Premium Support 비용의 추가도 함께 고려되어야 합니다.

댓글
«   2025/09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
최근에 올라온 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