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WS의 서비스들은 리전이나 AZ에 종속되는 서비스와 그렇지 않은 서비스들로 나뉘어집니다. VMware Cloud on AWS 역시 특정 리전 내 AZ에 종속되는 서비스로, 모든 리전과 모든 AZ에서 지원되는 서비스는 아니며, 서비스가 런칭된 리전과 리전 내에서도 구현 가능한 AZ가 정해져 습니다. 사용자가 많아질수록 VMware Cloud on AWS를 지원하는 리전과 AZ도 점점 더 늘어나고 있으나, 사용자의 수와는 별개로, 실제 AZ에 구축된 native EC2의 서버 여유 상황과 더 깊은 연관성이 있어 보입니다. 국내 역시도 VMware Cloud on AWS가 도입된지 3년정도가 지났지만, 모든 AZ에서는 지원되지는 않으며 현재 가동중인 총 4개의 AZ 중 2개의 AZ에서만 지원되고 있습니다. ..

지금 현재 내가 있는 위치에서 가장 빠른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AWS 리전은 어디일까요? 물론 우리나라에 있는 모든 분들은 Seoul 리전이 제일 빠르겠지만, 특정 서비스에 리전별 차이가 있다던가, 리전에 종속되어 있는 3rd party SaaS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하는 경우에는 내가 있는 위치에 따라 서비스 퀄리티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럴때 AWS 각 리전까지 HTTP 접속을 통해서 지연시간(Latency)를 확인해주는 사이트가 있습니다. 사용법은 아주간단하게 웹브라우저 접속 후 'HTTP Ping'을 선택하는 것만으로, 편하게 내 자리에서부터 각 리전별 서버까지의 응답시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cloudping.info 참고로 서울에 있는 제 위치 기준으로는 아시아에서는 서울..

VMware Cloud on AWS는 AWS의 리전에 위치한 EC2 베어메탈 기반의 SDDC 서비스입니다. AWS의 EC2 베어메탈 가격이 리전마다 다르듯, SDDC의 host 가격도 리전마다 다르게 책정되어 있습니다. 리전별로 자리에 대한 비용, 전기에 대한 비용, 인건비에 대한 비용, 영업적인 비용들이 다르기 때문인데요. 기본적인 AWS의 리전별 EC2 가격을 기준으로 VMware Cloud on AWS의 가격이 책정되기 때문에, 실제 동일한 i3.metal기반 SDDC라 하더라도 위치에 따라 최대 60% 정도의 차이까지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는 VMware에서 지역별로 차등을 두는 것이 아니라 AWS의 가격 정책에 기반하고 있음을 기억 바랍니다. 가격은 리전별로 시간당 US$ 기반의 List P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