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얼마전 진행된 re:invent 2025에서 Amazon Elastic VMware Service(EVS)가 공식 발표되었습니다.아직 EVS는 프리뷰 상태로 글로벌한 정식 서비스 런칭을 기다리고 있는 와중에,드디어 AWS 콘솔에서 Amazon Elastic VMware Service가 평가판이란 표기와 함께 등장했습니다.EVS의 아이콘이 공식적으로 콘솔에 나타나기 시작했다는 것만으로도 반갑습니다. 현재는 해당 서비스를 선택하면, 미국 동부(오하이오)에서만 지원하는 것으로 확인되며,리전을 선택하면, 서비스 화면이 아닌, EVS의 소개 페이지로 리다이렉션됩니다.https://aws.amazon.com/ko/evs/ 해당 화면에서 Contact us를 신청하면, AWS의 승인에 따라 미리 사용해 볼 수 있을..

오늘 AWS Blog를 통해 공개된 내용에 따르면,소문으로만 무성했었던, VMware Cloud의 AWS 버전이 곧 Preview를 앞두고 있으며,다음주에 열릴 re:invent 행사에서 Amazon Elastic VMware Service(Amazon EVS)라는 이름으로 공개될 예정입니다. VMware Cloud on AWS(VMC)가 VMware를 통해 관리되는 AWS 환경에서의 VMware Cloud 서비스라면,Amazon EVS는 AWS를 통해 관리되는 AWS 환경에서의 VMware Cloud 서비스입니다.여전히 VMC도 VMware를 통해 서비스가 가능함으로,AWS에서는 VMware Cloud의 운영주체에 따른 두가지 서비스가 당분간 공존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정확한 정보는 다음주가 되면 확인..

AWS, Azure, GCP는 유사하면서도 조금씩은 다른 네트워크 구조(VPC & Subnet)를 가지고 있습니다.용어는 조금씩 다르지만, 리전, AZ, VPC, Subnet으로 나누어 보면, 서로 존재할 수 있는 위치가 조금 씩 다릅니다. 물론 구성하는 아키텍처에 따라 서로간의 장단점이 발생하겠지만,범위 자체로만 보면 AWS가 가장 엄격하고, Azure는 AWS와 GCP의 중간, 그리고 GCP가 가장 자유롭게 보입니다. 구분AWSAzureGCPSubnet단일AZ단일리전 내 멀티 AZ단일리전 내 멀티 AZVPC단일리전 내 멀티 AZ단일리전 내 멀티 AZ멀티리전 & 멀티 AZ 1. AWS 하나의 리전 내 다수의 AZ가 존재합니다.각 AZ는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으며, 리전에 종속되어서 VPC가 생성됩니다...

AWS 자격증 시험에 응시하여 Fail할 경우 무료로 다시 응시할 수 있는 프로모션이 시작되었습니다. 과거 PSI를 통해서도 제공되던 AWS 시험이 2023년부터는 Pearson VUE로 단일화 되면서, 이를 기념하는 것 같습니다. AWS 시험들이 응시비가 적지 않고 쉽지 않은 시험들임으로 자격증을 목표하시는 분들에게 아주 좋은 기회입니다. 방법은 아주 간단하며, 시험 접수시 프로모션 코드에 PEARSONKR 를 입력하기만 하면 됩니다. 1. 대상 : 1월 16일 ~ 4월 17일 사이에 AWS 시험 접수 및 응시자 - 단, 두번째 응시까지 6월 5일 전에 끝낼 것 - 다수의 시험에 여러번 사용 가능. 단, 신규 접수시마다 접수 비용 지불 필요 2. 방법 : 온라인/오프라인 상관없이 시험 접수 시 프로모션..

지금 현재 내가 있는 위치에서 가장 빠른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AWS 리전은 어디일까요? 물론 우리나라에 있는 모든 분들은 Seoul 리전이 제일 빠르겠지만, 특정 서비스에 리전별 차이가 있다던가, 리전에 종속되어 있는 3rd party SaaS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하는 경우에는 내가 있는 위치에 따라 서비스 퀄리티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럴때 AWS 각 리전까지 HTTP 접속을 통해서 지연시간(Latency)를 확인해주는 사이트가 있습니다. 사용법은 아주간단하게 웹브라우저 접속 후 'HTTP Ping'을 선택하는 것만으로, 편하게 내 자리에서부터 각 리전별 서버까지의 응답시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cloudping.info 참고로 서울에 있는 제 위치 기준으로는 아시아에서는 서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