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D의 수명은? TBW와 DWPD
SSD는 데이터를 쓸때 HDD와는 다른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HDD는 기존에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도 덮어쓰기를 통해 데이터를 변경합니다.
그러나 SSD에서 사용하는 NAND 에서는 기존 데이터가 있을 경우 데이터를 지우고, 다시 써야합니다.
이 과정에서 마모가 발생하며, 어쩔수 없이 SSD는 제조당시부터 보장할 수 있는 수명이 정해져 있습니다.
여기서의 수명이란 SSD의 오류 없이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있는 기간을 뜻합니다.
SSD의 제품 수명을 판단하는 수치로 다양한 수치가 있으나, 주로 TBW와 DWPD가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DWPD가 더 많이 사용되기는 하나, 여전히 TBW로 표현하는 제조사도 있습니다.
1. TBW : TeraByte Written
TBW는 기간별 Write 가능한 전체 용량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 하루 100GB의 Write를 10년간(3,650일) 보장한다고 하면,
100GB * 3,650일 = 365,000GB = 365TB의 용량을 사용하게 되고, 이를 365 TBW를 보장한다고 표기합니다.
만약 365 TBW인 SSD에 하루에 500GB씩 Write가 발생한다면, 365,000GB / 500GB = 730일 = 2년의 수명을 보장합니다.
2. DWPD : Drive Writes Per Day
DWPD는 보증기간 동안 SSD 전체 용량을 하루에 몇번 Write 할 수 있는지 수치로 나타냅니다.
즉 1DWPD는 하루에 한번 드라이브 전체 용량을 다시 Write할 수 있으며,
3DWPD는 하루에 3번 드라이브 전체를 다시 Write 할 수 있습니다.
즉 동일한 Write가 발생한다고 가정하면, 3DWPD는 1DWPD보다 3배 더 긴 수명을 보장합니다.
이 두 수치간에는 서로간의 변환이 가능하며, 추가적으로 보증기간과 용량에 대한 데이터가 필요합니다.
DWPD = TBW/(365일*보증기간*SSD용량)
TBW=DWPD*SSD용량*보증기간*36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