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astic VMware Service(EVS) - II. EVS 구성
2025년 9월 18일 진행된 AWS Innovate: Migrate and Modernize에서 발표된
'VMware 워크로드를 클라우드로, 가장 스마트한 마이그레이션의 시작 - Amazon EVS' 를 정리합니다.
참고로, 발표 내용 중 일부를 흐름에 맞추어 변경하였습니다.
1. 컴퓨팅
2. 네트워킹
3. 스토리지
1. 컴퓨팅
EVS는 AWS의 베어메탈 EC2 인스턴스를 그대로 사용합니다.
기본적으로 EVS는 vSAN을 내장형 스토리지로 사용하고 있어, 물리적 디스크 용량이 큰 모델이 우선 적용되고 있습니다.
현재는 i4i.metal 1종류의 인스턴스가 제공되고 있으며, 점차적으로 지원 인스턴스를 늘려갈 예정으로,
VCF 인증을 진행중인 4개 이상의 인스턴스가 공식 지원을 대기 중에 있습니다.
EVS의 컴퓨팅은 ESXi가 직접 설치되는 베어메탈 Host입니다.
On-premises의 물리 서버와 동일한 의미로, 물리적으로 아래와 같은 스펙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CPU
- 구분 : Intel Xeon Scalable Processor 3세대(Ice Lake)
- 모델명 : Xeon Platinum 8375C
- 사양 : 32 core * 2 Sockets(Hyper Threading Enabled)
- 성능 : 일반 2.9GHz, 터보 3.5GHz
2. Memory : 1024GB
- 채널 : 8 channel/cpu
- 메모리 : 64GB * 16EA
3. Disk
- 개별 용량 : 3,750G AWS Nitro SSD
- 수량 : 8개
4. NIC
- Network Card : 1개
- Shared across 2 x ENIs
- 최대 대역폭 : 75GB
2. 네트워킹
1) 내부 네트워킹
EVS는 기본적으로 VCF의 표준 네트워크 구성을 따라갑니다.
VCF의 경우 목적별로 내부 네트워킹을 위해 많은 서브넷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외부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위한 NSX Edge의 업링크 네트워크나,
vMotion을 위한 vMotion 네트워크도 필요합니다.
개별 필수 네트워크에 대해서는 사전에 설계가 필요하며, 설계된 범위를 배포 단계에서 입력하게 됩니다.
해당 값들은 추후에 변경할수 없으니, 입력전 네트워크 구성에 대한 설계에 유의해야 합니다.
VCF가 배포되는 과정에서 해당 서브넷들이 자동으로 생성되고, 관련된 컴포넌트들이 구성되면,
서로간의 통신을 통해 정보를 주고 받으며 최종적인 설정이 마무리되게 됩니다.
이후 제공되는 NSX Manager에 접속하여 실제 VM 워크로드가 위치할 segment를 생성하고,
VM에 생성된 Segment를 할당하면 네트워크는 모두 준비가 완료됩니다.
2) 외부 네트워킹
EVS를 하이브리드로 구성하여 On-premises 데이터센터와 클라우드를 연결하는 경우,
AWS의 전용선 서비스인 Direct Connect(DX)를 통해서 연결하거나 인터넷 망을 통해서 VPN 터널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EVS는 일반적인 VPC 안에 구성이 되기 때문에 AWS의 네트워킹 기법을 이용해서 손쉽게 On-premises와 연결할 수 있습니다.
EVS를 통해 생성된 SDDC에서 NSX manager를 통해 생성한 논리적 segment는 VCF 내에서만 유효한 네트워크입니다.
모든 패킷은 GENEVE 프로토콜로 감싸지는 오버레이 형태로, 외부와의 통신을 위해서는 무조건 Edge를 통해야 합니다.
즉 기본적으로 VPC 내부의 네트워크에서는 해당 네트워크의 통신을 인지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VPC와의 원한 통신을 위해 Amazon VPC route server를 구성하게 됩니다.
Amazon VPC route server를 통해서 VPC 네트워크와 VCF에 위치한 NSX 오버레이 네트워크 간의 라우팅 정보를 교환합니다.
서로간에는 BGP를 통해 서로간의 동적인 라우팅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으며,
정보교환 및 네트워크 통신을 위해 Route server에 endpoint가 2개까지 사전에 배포되어 있어야 합니다.
3. 스토리지
1) 내부 스토리지
EVS의 기본 스토리지는 vSAN입니다.
베어메탈 기반의 EC2 인스턴스에 연결된 8개의 NVMe All Flash 스토리지를 기반으로, vSAN 스토리지를 구현합니다.
EVS는 vSAN의 ESA 아키텍처를 사용하여 별도의 Cache와 Data 디스크를 구분하지 않고,
전체 디스크를 하나의 Pool로서 활용합니다.
vSAN은 HCI를 위한 스토리지 솔루션입니다.
Host 안에 있는 내장 스토리지를 모아서 하나의 커다란 공유 스토리지를 만들고
클러스터 안에 있는 모든 Host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로 Host의 수량에 따라 스토리지 용량이 결정되게 됩니다.
사용량과 데이터에 따라 실제 논리적 제공량은 달라질 수 있으나 VMware Cloud on AWS와 동일한 Host를 사용함으로,
VMware Cloud on AWS 의 사이저를 통해 VM 워크로드가 사용 가능한 Disk 용량을 유추해 볼 수 있습니다.
(압축 1.25:1 기준, MGMT 제외, ESA 아키텍처 조건)
i4i.metal | RAID 1, FTT=1 | RAID 5, FTT=1 | RAID6, FTT=2 |
4대 | 37.22 TiB | 51.21 TiB | - |
5대 | 47.71 TiB | 65.19 TiB | - |
6대 | 58.2 TiB | 95.96 TiB | 79.18 TiB |
7대 | 68.69 TiB | 112.74 TiB | 93.16 TiB |
8대 | 79.18 TiB | 129.52 TiB | 107.15 TiB |
9대 | 89.67 TiB | 146.31 TiB | 121.13 TiB |
10대 | 100.16 TiB | 163.09 TiB | 135.12 TiB |
11대 | 110.64 TiB | 179.87 TiB | 149.1 TiB |
12대 | 121.13 TiB | 196.66 TiB | 163.09 TiB |
13대 | 131.62 TiB | 213.44 TiB | 177.08 TiB |
14대 | 142.11 TiB | 230.22 TiB | 191.06 TiB |
15대 | 152.6 TiB | 247 TiB | 205.05 TiB |
16대 | 163.09 TiB | 263.79 TiB | 219.03 TiB |
2) 외부 스토리지
VM 워크로드를 만들다보면 컴퓨팅 파워와 스토리지 용량 간의 미스매치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EVS는 기본적으로 vSAN을 사용하여 디스크가 부족할 경우 HCI 특성상 CPU/MEM도 함께 추가되어야 합니다.
즉, 컴퓨팅 용량은 충분한데 스토리지 용량이 부족해서 Host를 추가해야 하는 경우도 발생합니다.
EVS는 이런 경우 활용할 수 있는 추가 외부 스토리지 기능을 제공합니다.
AWS에서 제공되는 Amazon FSx for NetApp ONTAP을 이용하여
EVS 클러스터에 NFS 또는 iSCSI로 데이터스토어를 연결하고, VM 워크로드들을 통해 활용합니다.
이를 통해 On-premises의 외장 스토지와 유사하면서도 클라우드스러운 장점들을 얻을 수 있습니다.
1. 비용 최적화 : 컴퓨팅과 스토리지를 분리하여 비용을 최대 50% 절감합니다.
2. 성능 및 신뢰성 향상 : 엔터프라이즈 데이터 보호를 통해 보호 강화 및 SLA 충족합니다.
3. 운영 우수성 향상 : On-premises ONTAP 기반 아키텍처 및 기능 일관성으로 마이그레이션을 간소화합니다.
이렇게 스토리지를 컴퓨팅에 독립적으로 확장하고
중복제거와 압축 등을 통해 외장 스토리지의 효율성을 누릴수 있으며, Snap-mirror 같은 복제 솔루션을 이용하여
빠른 마이그레이션이나 데이터 보호, 재해복구도 손쉽게 구성할 수 있습니다.
또한 성능 및 데이터 보호 측면에서 엔터프라이즈급의 스토리지 기능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EVS에 배포된 워크로드 유형과 상관없이, 모든 유형의 워크로드에 적합한 성능과 기능을 제공합니다.
외장 스토리지의 구성은 EVS 자체적으로 구현되는 구성은 아닙니다.
Amazon FSx for NetApp ONTAP는 기본적으로 AWS 내 배포되는 서비스이고,
EVS는 VPC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는 구성입니다.
먼저, Amazon FSx for NetApp ONTAP을 통해 디스크 볼륨을 생성하고 생성된 볼륨을 export합니다.
이제 VPC 안에 구성된 EVS에서 NFS를 통해 해당 볼륨을 데이터스토어로 마운트 하여 VM 워크로드에 활용합니다.
프로토콜은 다르지만, iSCSI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형태로 구성합니다.